Sang Hee Park Social Psychology Lab
  • Home
  • People
    • Sang Hee Park 박상희
    • Lab members 연구실 식구들
  • 연구
    • 방법론 논문들
    • 행동경제학 관련 자료들 >
      • 주요 기관, 학술지 등
      • 이메일 리스트
      • 응용 전략들의 분류
  • 수업
    • 강의계획서 >
      • 사회심리학
      • 창의적 문제해결의 심리학
      • 집단간 편향의 심리학
    • 수업 관련 팁 모음 >
      • 발표의 팁
      • 조별 활동의 팁
      • 의사소통의 팁
      • 수업 태도의 팁
      • 학업과 인생에서의 기본 자세
    • 평생사제 상담의 원칙
    • 박상희 문고
    • 심리학개론 번역 틀린 내용 정리
  • 블로그

연구 방법론 논문들

이곳에는 연구를 할 때 꼭 알아야 할 내용을 담고 있는 논문들을 소개합니다. 제안하고 싶은 논문이 있으면 알려 주세요.
  • 연구하기
    • Brennan, N. M. (2019). 100 PhD rules of the game to successfully complete a doctoral dissertation. Accounting, Auditing & Accountability Journal, 32(1), 364–376. https://doi.org/10.1108/AAAJ-01-2019-030
      • 박사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치기 위해 명심해야 할 100가지 규칙들을 말하고 있다. 석사과정에도 적용할 수 있다.
    • Brennan, N. M. (2019). 100 research rules of the game: How to make your research world class. Accounting, Auditing & Accountability Journal, 32(2), 691–706. https://doi.org/10/ggr9tk
      • 모든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연구자로서의 자세 100가지를 나열한 글이다. 두 논문 모두 맨 처음에 읽으면 좋다. 그냥 읽을 뿐 아니라 그 내용을 그대로 실천하려고 노력할 필요가 있다.
  • 연구 아이디어 정하기
    • McGuire, W. J. (1997). Creative hypothesis generating in psychology: Some useful heuristics. Annual Review of Psychology, 48(1), 1–30. https://doi.org/10.1146/annurev.psych.48.1.1
      • 연구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몇 가지 방법들을 알려 준다.

  • 연구 관행
    • da Silva Frost, A., & Ledgerwood, A. (2020). Calibrate your confidence in research findings: A tutorial on improving research methods and practices. Journal of Pacific Rim Psychology, 14, e14. https://doi.org/10/ggwz9k
      • 올바른 연구 관행에 대한 글로 처음에 한 번 보기 좋다.
    • Gilmore, R. O., Kennedy, J. L., & Adolph, K. E. (2018). Practical solutions for sharing data and materials from psychological research. Advances in Methods and Practices in Psychological Science, 1(1), 121–130. https://doi.org/10.1177/2515245917746500
      • ​연구 재료와 자료를 공유하는 실용적인 방법을 가르쳐주는 글이다.
    • Goodman, J. K., & Paolacci, G. (2017). Crowdsourcing consumer research. Journal of Consumer Research, 44(1), 196–210. https://doi.org/10/gfjwjj
      • 크라우드소싱에 대해 아주 기본적이지만 유용한 내용이 있다.
    • Holliman, A. J., & Jones, T. (2018). Identifying a topic for a psychology dissertation: A process map for students. Psychology Teaching Review, 24(1), 82–90.
      • ​연구 주제를 결정하는 일에 대해서 좀 뻔해 보이지만 의외로 유용할 수 있는 길잡이이다.
    • Kathawalla, U.-K., Silverstein, P., & Syed, M. (2021). Easing into open science: A guide for graduate students and their advisors. Collabra: Psychology, 7(1), 18684. https://doi.org/10.1525/collabra.18684
      • 연구에 있어서 open science 방식을 실천하는 방법을 가르쳐 준다.
    • Ledgerwood, A., Soderberg, C. K., & Sparks, J. (2017). Designing a study to maximize informational value. In J. Plucker & M. Makel (Eds.), Toward a more perfect psychology: Improving trust, accuracy, and transparency in research (pp. 33–58).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.
      • ​검증력, 온라인 연구, 탐색적/확인적 연구, 재현 연구 등 심리학 연구 방법에서 요즘 이슈가 되고 있고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들을 다루고 있다.
    • Morales, A. C., Amir, O., & Lee, L. (2017). Keeping it real in experimental research: Understanding when, where, and how to enhance realism and measure consumer behavior. Journal of Consumer Research, 44(2), 465–476. https://doi.org/10/gfv3b9
    • Murayama, K., Pekrun, R., & Fiedler, K. (2014). Research practices that can prevent an inflation of false-positive rates.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, 18(2), 107–118. https://doi.org/10.1177/1088868313496330
    • Wicherts, J. M., Veldkamp, C. L. S., Augusteijn, H. E. M., Bakker, M., van Aert, R. C. M., & van Assen, M. A. L. M. (2016). Degrees of freedom in planning, running, analyzing, and reporting psychological studies: A checklist to avoid p-hacking. Frontiers in Psychology, 7. https://doi.org/10.3389/fpsyg.2016.01832
      • 연구자들이 저지를 수 있는 questionable research practices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. 필독.
    • Wilson, G., Bryan, J., Cranston, K., Kitzes, J., Nederbragt, L., & Teal, T. K. (2017). Good enough practices in scientific computing. PLOS Computational Biology, 13(6), e1005510. https://doi.org/10.1371/journal.pcbi.1005510
      • 연구를 하는 데 있어서 컴퓨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들에 대해 가르쳐 준다. 대개 다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되는 것들이지만 읽어보면 좋다.
    • Zanna, M. P. (2004). The naive epistemology of a working social psychologist (or the working epistemology of a naive social psychologist): The value of taking “temporary givens” seriously.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, 8(2), 210–218. https://doi.org/10.1207/s15327957pspr0802_15
      • ​​연구의 방향을 정하는 법을 자신의 사례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다.
  • 논문 읽기
    • Davis, W. E., Giner-Sorolla, R., Lindsay, D. S., Lougheed, J. P., Makel, M. C., Meier, M. E., Sun, J., Vaughn, L. A., & Zelenski, J. M. (2018). Peer-review guidelines promoting replicability and transparency in psychological science. Advances in Methods and Practices in Psychological Science, 1(4), 556–573. https://doi.org/10.1177/2515245918806489
      • 리뷰하는 방법에 대해 아주 도움이 되는 글이다. 참고할 자료도 많이 소개하고 있다.
    • Rubin, M. (2013). How to critically analyse psychological research.
      • 인터넷에 떠도는 글인데 논문을 비판적으로 읽는 법을 소개하고 있다. 리액션 페이퍼 쓰는 법을 훈련할 때 도움이 된다.
    • Siddaway, A. P., Wood, A. M., & Hedges, L. V. (2019). How to do a systematic review: A best practice guide for conducting and reporting narrative reviews, meta-analyses, and meta-syntheses. Annual Review of Psychology, 70(1), 747–770. https://doi.org/10.1146/annurev-psych-010418-102803
      • 제목이 말하는 바와 같다.
  • 논문 작성법
    • Appelbaum, M., Cooper, H., Kline, R. B., Mayo-Wilson, E., Nezu, A. M., & Rao, S. M. (2018). Journal article reporting standards for quant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: The APA Publications and Communications Board task force report. American Psychologist, 73(1), 3–25. https://doi.org/10.1037/amp0000191
      • 양적 연구의 논문 작성시에 보고해야 할 요소들을 ​권고한 논문이다. 현재 관행에 비해 매우 지나치게 자세하긴 하나 한 번 읽어볼 가치가 있다.
    • Funder, D. C., Levine, J. M., Mackie, D. M., Morf, C. C., Sansone, C., Vazire, S., & West, S. G. (2014). Improving the dependability of research i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: Recommendations for research and educational practice.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, 18(1), 3–12. https://doi.org/10.1177/1088868313507536
      • ​연구와 교육의 관행에 있어서 개선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하고 있다.
    • Gernsbacher, M. A. (2018). Writing empirical articles: Transparency, reproducibility, clarity, and memorability. Advances in Methods and Practices in Psychological Science, 1(3), 403–414. https://doi.org/10.1177/2515245918754485
      • ​투명성, 재현성, 명료성, 기억 가능성의 측면에서 논문을 잘 쓰는 법을 정리한 논문이다. 특히 처음에 읽기 좋다.
    • Giner-Sorolla, R. (2016). Approaching a fair deal for significance and other concerns.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, 65, 1–6. https://doi.org/10.1016/j.jesp.2016.01.010
      • ​JESP에서의 새로운 편집 방침을 밝힌 글이다. 다른 학술지를 목표로 논문을 쓰더라도 참고하기 좋다.
    • ​Kashy, D. A., Donnellan, M. B., Ackerman, R. A., & Russell, D. W. (2009). Reporting and interpreting research in PSPB: Practices, principles, and pragmatics.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, 35(9), 1131–1142. https://doi.org/10.1177/0146167208331253
      • ​PSPB에서의 권고 사항들을 정리하였다. 논문에서 보고해야 할 내용들을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다. 좀 오래됐지만 여전히 일독의 가치가 있다.
  • ​​투고 과정
    • ​Bagchi, R., Block, L., Hamilton, R. W., & Ozanne, J. L. (2016). A field guide for the review process: Writing and responding to peer reviews. Journal of Consumer Research, ucw066. https://doi.org/10.1093/jcr/ucw066
      • 리뷰하기와 리뷰에 대응하기의 두 가지 일에 있어서의 현실적인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.
    • Daft, R. L. (1995). Why I recommended that your manuscript be rejected and what you can do about it. In Publishing in the Organizational Sciences (pp. 164–182). SAGE Publications, Inc. https://doi.org/10.4135/9781452240466.n14
      • 논문 작성시 지켜야 할 규칙들을 논하고 있는 글로서 대부분 암묵적으로 지키고 있는 것들이지만 한 번 읽어볼 필요가 있다.
    • Gardner, W. L. (2020). Why I rejected your R&R submission and what you could have done to secure an acceptance. Journal of Management Inquiry, 29(4), 378–384. https://doi.org/10/ggd7rk
      • Daft(1995)의 내용을 보충하는 글이다.
    • Vogelgesang Lester, G. (2020). Congratulations, you got a revise and resubmit! Now what? The impetus behind and lessons learned from a successful years-long PDW focused on the peer review revision process. Journal of Management Inquiry, 29(4), 367–373. https://doi.org/10/ggcnf5
      • 리뷰에 대응하는 과정에서의 몇 가지 문제들을 다룬 글이다.
Powered by Create your own unique website with customizable templates.
  • Home
  • People
    • Sang Hee Park 박상희
    • Lab members 연구실 식구들
  • 연구
    • 방법론 논문들
    • 행동경제학 관련 자료들 >
      • 주요 기관, 학술지 등
      • 이메일 리스트
      • 응용 전략들의 분류
  • 수업
    • 강의계획서 >
      • 사회심리학
      • 창의적 문제해결의 심리학
      • 집단간 편향의 심리학
    • 수업 관련 팁 모음 >
      • 발표의 팁
      • 조별 활동의 팁
      • 의사소통의 팁
      • 수업 태도의 팁
      • 학업과 인생에서의 기본 자세
    • 평생사제 상담의 원칙
    • 박상희 문고
    • 심리학개론 번역 틀린 내용 정리
  • 블로그